카테고리 없음

주가지수정보(ft, 코스피, 나스닥다우지수) 한국 및 미국

천년기 2021. 10. 2. 18:40

안녕하세요 세상을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알려드릴 티케이입니다

오늘 다룰 주제는 국내와 미국의 주요 주가지수 정보에 관한 것입니다. 주식에관심있으신분들은뉴스를통해서코스피지수,코스닥지수라는말을많이들어보셨을텐데요.

이러한 국내 및 미국의 주요 주가지수의 종류 및 각 지수는 어떠한 것을 의미하는지 알았습니다.

우선 주가지수가 뭔지 알아봅시다.

주가지수란? 주식시장 상황을 표시하기 위해 개별주가를 정해진 방식으로 계산해 얻은 값으로 주가의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지표를 말한다.

쉽게 말해서 주가가 과거에 비해 현재 얼마나 많이 변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국내 주가지수를 먼저 살펴볼까요? 한국내에는 코스피지수와 코스닥, 코스피200지수가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

출처: 연합뉴스코피지수(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경우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시가총액(기업주가*상장주식수)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비교한 지표입니다.

원래는 종합 주가지수라고 불렸는데 2005년 11월부터 현재의 종합 주가지수로 변경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출처 : 키움증권 영웅문S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텔레콤, 카카오, 네이버 등 대기업이 상장되어 있는 주식시장으로 930여 종목이 상장되어 있어 한국 경제의 대표 지수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코스피지수는 과거 기준일에 비해 현재 어느 정도 성장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기 때문에 경제성장에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제 코스피지수를 보는 방법을 좀 설명해볼까요?1980년 1월 유가증권시장에서 거래된 모든 종목의 시가총액은 1조원으로 코스피는 100포인트에서 출발했습니다. 최근 코스피지수가 3249.32로 마감돼 1980년 1월에 비해 코스피가 대략 32배 정도 성장했다고 보면 됩니다.

코스닥지수

출처: 시사뉴스닥지수는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된 종목의 주가가 과거 코스닥시장 거래가 시작된 1996년 7월에 비해 어느 정도 상승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코스피시장이 한국의 대표적인 대기업 반열에 올라 있다면 코스닥시장은 한국을 대표하는 중소기업이 상장된 시장에서 코스피에 비해 주가 변동폭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96년 코스닥 거래 종목의 주식 가격 합계가 1조원이라고 가정하고 오늘 코스닥 거래 종목의 주식 가격 합계가 10조원이라면 코스닥 시장은 과거 기준일에 비해 10배 상승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키움증권 영웅문S인데 코스닥지수는 1996년 7월 1,000으로 시작한 이래 최고 2925까지 치솟은 적이 있으나 이후 급격한 하락과 상승을 거듭해 현재 991에 달했습니다.4월 중순에 1,000포인트를 넘은 적이 있지만 아직 시작점에 비해 낮은 수치로 올 상반기 중에 시작포인트인 1,000포인트를 넘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코스피200

출처 : business Korea 코스피200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200대 주식가격이 과거에 비해 얼마나 올랐는지를 조사한 지표로서 미국의 S&P500과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코스피200 구성 종목의 경우 매년 구성 종목이 바뀌며 선정은 한국거래소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출처:키움증권의 영웅문 S코스피200은 코스피에 상장된 대표기업 지수답게 코스피지수와 거의 비슷합니다.

 

다음으로 미국을 대표하는 다우존스산업지수와 나스닥, S&P500지수를 살펴보겠습니다.

다우 지수

출처 : 코인월드 다우존스지수는 미국을 대표하는 주가지수로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거래되는 수많은 종목 가운데 세계 경제를 대표하는 30개 기업으로 구성된 지수로 이들 기업의 주가 평균을 내어 만든 것이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입니다.
출처 : 키움증권의 영웅문 S상 위 30종목 평균만 보더라도 미국 증시가 어느 정도 상승했는지 파악하기 쉽기 때문에 미국 경제의 성장 분석에 다우존스 지수를 많이 사용합니다.

S&P500지수

출처 : lynxbroker.de 신용평가 기관인 '스탠다드 & 푸어스(Standard and Poors)'사가 작성한 주가지수로 미국 500대 주요 기업의 주가를 기준으로 과거 대비 얼마나 올랐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S&P500 지수의 종류에는 공업주(400 종목), 운수주(20 종목), 공공주(40 종목), 금융주(40 종목)의 그룹별 지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출처 : 키움증권의 영웅문S, 미국 500대 주요기업의 주가를 이용한 지수이기 때문에 다우지수보다 미국증시의 전체 흐름을 판단하는 데 유용하게 쓰이고 있으며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거의 비슷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나스닥 지수

출처 : koreatimes 나스닥 시장은 1971년 2월 8일에 개설되었고 1982년에 우량종목 40종목으로 구성된 나스닥NMS가 신설되면서 본격적으로 미국 증시에 편입되었습니다.

나스닥 시장은 현재 세계적으로 시가총액 2위의 증권거래소이자 전미증권협회에 등록된 주식이 매매되는 장외시장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장내시장으로 인정받고 있어요.

출처 : 키움증권 영웅문S벤처기업을 위한 시장답게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구글, 애플 등 IT회사가 포진해 있어 한국에서 보면 코스닥 시장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나스닥 시장의 경우 미국 기업이 아니어도 상장이 가능하며, 나스닥 지수는 나스닥 시장에 상장한 종목 전체의 주가 추이를 종합하여 작성됩니다.

이상으로 한국 및 미국 주가지수를 대표하는 코스피, 코스닥, 코스피200, 다우존스, 나스닥, S&P500지수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러한 지수가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알고 투자를 하면 도움이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